대학에서 지원하는 재정보조금의 수위는 대학별로 차이가 있으나, 요즈음과 같이 재정보조의 평가와 변동이 심한 상황에서의 올바른 재정보조 어필에 대해서 알고 진행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한 사안이다.
일반적으로 재정보조 어필이라는 개념은 대학에서 진행하는 재정보조 공식에 따라 재정보조 필요분에 대한 금액이 정해지고 이 부분에 대해서 해당 연도에 대학이 재정보조를 몇 퍼센트 지원하고 있는지 그리고 지원받는 금액에서 그랜트나 장학금 등이 차지하는 무상보조금의 퍼센트가 올바른지 등의 평가를 통해 해당 가정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평균치보다 적게 지원을 받았거나, 혹은 지원받은 금액은 대학의 평균치라고 해도 무상보조금의 구성이 턱없이 적고 유상보조금의 비율이 높을 경우에 어필을 통해 정정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정상 착오나 재정보조당당관의 개인적인 편견으로 재정보조가 예상보다 적게 나온 경우외에는 부모의 수입이 갑자기 줄거나 실직을 한 경우, 그리고 뜻하지 않은 의료비용이 크게 발생할 경우에 이를 토대로 재정보조 지원을 추가로 요청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모든 어필의 경우에 대학은 첫번 어필에 대부분 거절답변을 준비해 놓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어필을 진행해도 전략적인 어필로 몇번에 나눠서 진행해 나가야만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신입생의 경우에 합격한 대학들로부터 재정보조금 내역을 끝까지 진행하여 받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진학할 대학을 선정하기에 앞서 합격한 대학에서 재정보조 지원내역을 각각 받는 과정에서도 대학별로 어필을 통해 최대 금액을 받아 진학할 대학을 선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각 대학별로 재정보조금에 대한 서로 경쟁을 부추기는 Negotiation을 하게 되면 각 대학마다 재정보조 극대화를 꾀할 수 있으므로 대학선정에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한편, 어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대학들이 학부모가 모자라는 금액에 대한 융자 프로그램인 PLUS (Parent Loan for Undergraduate Student)을 통해 부모융자금만 올려서 조정했다고 제의하는 것은 거의 무의미한 답변이기에 무엇보다 대학에서 해당 연도에 지원하는 무상보조금과 유상보조금의 비율에 맞춰서 지원해 주었는지 여부를 반드시 가려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비율을 고려하지 않고 PLUS를 매우 높여서 재정보조 제의를 해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정보조 내역에 대한 올바른 검토와 제대로 된 어필을 통해 1차, 2차 및 3차 어필 등으로 합리적으로 어필은 진행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 물론, 유상보조금이 많아지면 학부모들이 대학에 자녀를 등록시키기 위한 재정부담은 당연히 커질 전망이다.
앞서 언급한 재정보조의 1차, 2차 및 3차 어필을 통해 접근하는 방식이 중요한 이유는 1차어필에 대한 대학의 답변은 거의 대부분이 거절내용이다. 따라서, 대학별로 어필에 대한 내용을 잘 배치해 어필을 여러 번에 나눠서 진행하려고 생각하면 하고 이에 대한 어필전략은 필수적이다. 무조건 대학에 가정상황이 어렵다고 재정보조 지원을 더 많이 해달라고 해도 이러한 경우는 대개는 거절서신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두 합리적으로 이치에 타당하게 작성해야만 제대로 된 어필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어필과정은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 후 진행해야 하겠다. 이러한 어필을 잘 성공시키기에는 또한 대학에서 자녀를 선발할 때 어느 정도 수준으로 합격 선발했을 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도록 자녀들의 성적과 그 동안의 Achievement record등도 세심히 살펴 대학이 지원자가 등록을 선호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입학사정에 대한 지식도 정확해야만 보다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도 그럴것이 최근에 있었던 일이지만 자녀와 학부모의 어필이 모두 거절당한 상황에서 자세한 어필을 다시 작성해 대학과 Negotiation을 진행한 결과 7만 8천달러의 무상보조금을 찾아 준 경우고 있고, 연간 8천달러의 무상보조금을 더 받아낸 경우도 있다. 어필의 성공은 무엇보다 정확한 정보의 파악에 기본을 둔다. 따라서, 어필을 진행하기 전에 사전준비와 대학의 최근 재정보조 지원수위를 정확히 알고 진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문의: (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