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브레이크 등 차 정비비용도 상승
정비수가 오르면 보험료 인상도 불가피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가 3일부터 발효됐다. 한달 뒤인 다음달 3일부터는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전동장치), 전기 부품 등 자동차 핵심 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가 부과된다.
이에 따라 신차 가격 오름세 만큼 수리 비용도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3일 “관세로 차량 가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타이어, 브레이크패드, 오일 필터 등 부품 비용이 크게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해외 자동차 메이커뿐 아니라 국내 소비자들도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엔지니어링 업체 케어소프트에 따르면 포드의 대표적 픽업트럭인 F-150는 국내에서 100% 조립되지만 24개국에서 2700여개의 부품을 수입한다. 연방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은 지난해 자동차 핵심 부품 수입액은 총 4754억 달러라고 밝혔다.
노크로스의 한인 정비업체는 “자주 쓰는 필터류 제품 외에는 재고를 쌓아두지 않고 수리 요청이 들어오면 그때마다 딜러샵에 주문해 받아쓰는 방식”이라며 “아직은 별다른 영향이 없지만 관세가 발효되면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소규모 업체일수록 재고를 쌓아 관세를 방어할 수 없기 때문에 타격을 크게 받는다. 지역매체 채널2 액션뉴스는 각 부품업체들이 관세 영향을 따지면서 자재 공급이 늦어지는 물류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짚었다.
자동차 정비 수가가 뛰면 이를 지급하는 보험사들이 지출 보전을 위해 보험료를 인상할 가능성도 높다. 둘루스의 코너스톤 보험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이후 높아진 공임, 부품값에 따른 보험료 상승 추세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라면서도 “수리 비용 청구가 많아지면 보험사는 더 탄력적으로 비용을 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