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관세발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중소기업들이 관세로 인해 늘어나는 비용을 제품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지난해 12월 말부터 올해 1월 초까지 400곳이 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 분석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야후파이낸스가 21일 보도했다.
응답자들은 대부분의 미국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관세 인상으로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러한 비용을 가격 인상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가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관세는 수출업체가 아닌 수입업체가 부담한다.
또 관세 비용 전가 정도는 관세 시나리오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자들은 고관세 시나리오(관세율 25%)와 불확실한 시나리오(관세율 10%에 변동성이 있는)에 비해 저관세 시나리오(관세율 10%)에서 가장 급격한 가격 인상을 예상했다.
또 수입업체들은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가 가격에 완전히 반영되기까지 약 2년이 걸릴 것으로 봤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여파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앞서 지난 11일 미국 미시간대가 발표한 향후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6.7%로 3월 대비 1.7%포인트 올랐다.
이는 미국이 10%대의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던 1981년 이후 4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4%로 3월(4.1%)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관세 공세를 펼치고 있으며 특히 중국산 수입품에는 취임 후 총 145%의 관세를 부과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