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미중 관세 지속 불가”…”WSJ “절반 이하로 인하 검토”
전면전 직전까지 치달았던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전환점을 맞이했다.
중국을 겨냥해 145%라는 관세 폭탄을 날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3일 관세율을 낮출 수 있다는 공개 신호를 보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낮출 가능성이 있냐’는 취재진 질문에 “향후 2~3주 이내에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중국과도 특별한 협상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70여개 무역 상대국에 대해 상호관세 적용을 90일 유예하면서도 중국에 대해서만 관세율을 추가 인상하는 등 중국과의 무역전쟁에 자신감을 보인 트럼프 대통령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는 중국에 부과한 145% 관세율에 대해 “매우 높은 수치”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2~3주 안에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낮추겠다는 입장을 천명한 셈이다.
관세전쟁의 주무장관인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도 이날 미중 양국의 관세율에 대해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145%의 관세율과 중국이 미국에 부과한 125%의 관세율을 유지하는 것은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국에 대한 관세율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백악관의 한 고위 인사는 대중 관세율이 대략 50∼65% 정도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펜타닐 생산에 대응하기 위해 부과하고 있는 20%의 관세 중 자동차 부품은 면제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에 따른 생산비 상승을 우려한 미국 자동차 업계의 로비에 따른 움직임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중국과의 양자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시진핑 주석과 특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이제는 중국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는 발언도 했다.
미국과 중국과의 무역 협상이 공식 개시된 것은 아니지만, 중국을 향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인 셈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따라 양국 간 무역 갈등은 중국이 어떤 대응을 하느냐에 따라 확전과 종전의 길로 갈라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전날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하 시사 발언에 대해 “싸운다면 끝까지 맞서 싸우되, 대화의 문은 활짝 열려있다”는 종전 입장을 되풀이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진정으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위협과 협박을 중단하고 평등과 존중, 호혜의 기초 위에서 중국과 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