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마일 가는데 30분…체증 피해 뒷길로 다니기도
지난해 말 가동을 시작한 현대차그룹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 인근의 교통 체증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한때 시골이었던 곳이 이제는 애틀랜타의 러시아워 교통 체증과 맞먹을 정도여서, 주민들이 (빠져나오기 힘든) ‘수렁'(the quagmire)이라고 부를 정도다.
사바나 서쪽으로 약 20마일 떨어진 메타플랜트가 작년 10월 문을 열기 전 I-16은 한산한 고속도로였다. 그러나 메타플랜트와 협력업체 공장들이 속속 들어서면서 교통 체증이 심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현재 메타플랜트에 건설 관계자를 제외하고도 약 15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더해 인근 총기 제조업체인 다니엘 디펜스와 비닐제품 제조업체인 오라폴 등의 직원들도 출퇴근 시간 몰리면서 교통 체증이 심화됐다.
출퇴근 시간만 되면 고속도로 양쪽 갓길까지 차량이 정체되는 일이 잦아졌다. AJC는 메타플랜트 직원이 어느날 새벽 공장으로 향하던 중 고속도로를 빠져나가는 데만 12분 넘게 걸렸다고 전했다. 오후에는 교통 체증이 더 심각해져 직원 주차장에서 I-16까지 2.5마일을 가는데 평균 30분이 걸린다고 밝혔다. 이마저도 작년 거의 1시간이 걸린 것에 비해 단축된 것이다.
일부 통근자들은 이곳 일대의 교대 근무 시간대 교통 체증은 애틀랜타 ‘스파게티 정크션(I-85 북쪽 방면 I-285 인터체인지)’과 애틀랜타 다운타운 커넥터의 러시아워 체증과 맞먹는다며 혀를 내둘렀다.
메타플랜트. 구글맵 캡처
I-16 고속도로와 U.S. 280번 고속도로가 만나는 143번 출구는 메타플랜트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 공장 진입로(제네시스 드라이브)는 280번 도로에서 수백 야드 더 들어가야 한다. 현재 2차선인 280번 고속도로를 4차선을 넓히는 동시에 로터리 5개를 설치하고, I-16의 출구 램프를 확장하는 등의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순조롭게 진행되던 공사는 지난해 열대성 폭풍 데비, 허리케인 헐린과 밀턴을 연달아 거치며 늦어졌다. 공장이 가동된 지 7개월이 지난 지금에서야 일부 도로 공사가 거의 완료됐으며, 인근 로터리와 도로 확장 공사는 6월 완공 예정이다. 출구 램프 확장 공사 완공 시기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메타플랜트 동쪽으로 또 다른 I-16 교차로가 계획돼 있지만, 2027년 완공 예정이어서 올해 말까지 공사가 시작되지 않는다.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메타플랜트 측은 여러 조치를 취했다. 생산 시작 시간을 30분 늦추고, 사무실 직원들에게 공장 출근 시간을 늦추도록 권장했다.
지역 주민들은 ‘수렁’을 피하기 위해 ‘뒷길’을 이용해 출근한다. 공장에서 7마일 떨어진 에덴에 산다는 한 직원은 I-16에 진입해 280번에서 약 6마일 떨어진 137번 출구에서 나온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들도 “먼 길을 돌아간다”면서도 “이제 다른 길도 점점 막히고 있다. 공장을 짓기 전에 도로를 먼저 정비했어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윤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