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손을 잡고 우주의 진화 역사를 규명할 3차원 우주 지도를 만들 예정입니다.”
지난 6월 24일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칼텍)의 캐힐 천문천체물리학 센터에서 만난 필 콘구트 박사는 한국의 우주과학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며 이같이 말했다.
콘구트 박사는 한국 천문연구원, 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우주망원경 스피어렉스(SPHEREx) 개발을 이끄는 칼텍의 핵심 과학자다.
그는 한국이 적외선 영상분광 기술을 적용한 우주망원경(NISS) 개발에 성공한 것을 계기로 양국 과학자들이 힘을 합쳐 스피어렉스 우주망원경 개발에 착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필 콘구트 박사(왼쪽)와 정웅섭 연구원(오른쪽)
NISS는 한국이 차세대 소형위성 1호에 탑재하기 위해 만든 망원경으로, 2018년 12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 탐사 기업 스페이스X의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당시 천문연은 세계 최초로 적외선 영상과 분광 관측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우주망원경 NISS를 만들었고, 미국 과학계는 한국에 바로 ‘러브콜’을 보냈다.
영상분광은 전천(全天), 이른바 전 우주를 102개 색깔로 관측해 3차원 우주 전도(全圖) 제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기술이다.
이후 캘리포니아공대와 천문연은 NISS 기능을 확장하는 스피어렉스를 만들기로 했고, 이 망원경은 예비 평가 과정 등을 거쳐 2021년 NASA의 공식 우주 탐사 프로그램으로 채택됐다.
스피어렉스는 인류 역사상 최강의 우주 망원경인 제임스 웹 망원경(JWST)과 상호보완적인 역할도 할 전망이다.
박성준 책임연구원은 “스피어렉스는 전체 하늘을 다 찍기 때문에 이 관측 자료에서 새롭고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며 “제임스 웹 망원경은 이 결과를 토대로 특정 천체를 집중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