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가정에서 자녀들이 대학에서 제의한 재정보조 내역서를 받은 후에 가정형편에 알맞게 잘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해 대학의 재정보조 사무실과 전략적인 어필을 진행해 보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해당 연도의 재정보조지원을 받은 내용에서 대학을 처음으로 입학하는 신입생이나 혹은 휴학 후 복학하는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반드시 마무리 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에 그나마 지원받은 재정보조금 내역에서 연방정부의 학생융자금이나 부모융자금이 모두 무효화 하는 경우들이 종종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상당히 요구되어지는 시기다.
연방정부에서 지원받는 Student Loan에는 Subsidized와 Unsubsidized로 크게 대별되는데, Subsidized Direct Loan이란 원래는 Subsidized Stafford Loan이라 불리었지만 현재는 융자금의 출처가 연방정부에서 직접 지원받는 것이므로 대개는 Direct Loan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학생융자금은 대학의 재정보조 내역서에 나타나지만 학생이 이를 지원받을 것인가 아니면 받지 않을 것인가를 대학의 어카운트 웹사이트에서 선택해 정할 수가 있다.
물론, 재정보조 어필을 진행하는 상황일 경우에는 이를 무조건 지원받는 것이 어필에 도움이 된다. 그랜트 등의 장려금이나 장학금 과 같은 무상보조금만을 받겠다고 하고 학생융자금 지원을 모두 Decline시키면 다음 연도의 예산편성에도 반영이 되어 재정보조지원이 급격히 줄어들 수가 있다.
대학의 관점에서 보면 어렵다고 재정보조 지원을 더 해 달라고 어필하면서 학생 융자금 등 얼마되지는 않는 지원금을 받지 않겠다고 하면 당연히 대학이 지원한 것도 받지 않는데 이러한 어필을 반영해 줄리가 만무하다.
어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일단 모두 지원받은 부분을 ACCEPT한 후에 어필을 통해 재정보조 지원을 더 받을 경우에 학기 중에 이러한 학생융자금은 상환할 수도 있기에 이러한 시차조건등을 심사숙고해 어필을 진행해 나가야만 하겠다.
Subsidized란 학생융자금의 이자를 졸업시까지 연방정부가 대신 지불해 주는 것이며 연간 학년 별로 적게는 3500달러에서 5500달러까지 매 학년마다 조금씩 증가하며 지원을 받게 된다.
Unsubsidized란 연방정부가 이자를 졸업할 때까지 지불해주지는 않지만, Subsidized와 Unsubsidized 모두 원금지불의 의무가 졸업한 후 6개월이 지나면 시작이 된다. 따라서, 이들을 적극활용하는 것이 매우 추천이 된다.
문제라면 이러한 학생융자금들이 재정보조 내역서에 나타나 있어도 반드시 studentloans.gov 에 접속해 MPN (i.e., Master Premisory Note)와 아울러 Student Loan Counseling 코스를 마쳐야만 2주 후에 연방정부가 이 사항을 해당 대학에 통보해 융자금 이 등록금 고지서에 실질적으로 반영된다고 하겠다.
물론, 학부모들이 연방정부에서 지원받는 PLUS (i.e., Parent Loan for Undergrate Student)융자금도 신청 후 반드시 MPN과 PLUS Counseling course를 마쳐야 상기 학생융자금과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등록고지서에 반영된다고 하겠다.
학생융자와 다른점이라면 PLUS 의 경우에는 신청한지 6개월 후부터 향후 10년 동안 갚아나갈 수 있도록 Bill이 나오기 시작한다.
학생융자금의 경우는 졸업한 후 6개월 이후부터 Bill이 나오며 PLUS와 마찬가지로 10년간 나눠서 갚을 수 있게 해 놓았다. 마무리 작업인 상기의 MPN와 Loan Counseling Course을 아무리 마쳤다고 해도 만약, 자녀가 휴학했다가 다시 복학하는 경우와 혹은 대학원에 다시 진학할 경우에 재정보조 지원을 받는다면 이러한 마무리 작업을 다시 해야만 등록금 고지서에 반영이 된다.
따라서, 마무리 작업이란 한 해의 재정보조를 지원받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마지막 작업이다. 그러나, 많은 학부모나 자녀가 대학에서 재정보조 내역서를 제공받은 이후에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간과하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아 더욱 신중한 주의가 요구 된다고 하겠다. 최선을 다하기 바란다.
▶문의: (301)213-3719, remyung@agminstitut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