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유내강(外柔內剛)이란 말이 있다. 겉으로는 부드럽지만, 속으로 강건함이 들어있다는 뜻이다. 부드러움과 강건함은 양자가 음양처럼 잘 조화되면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게 세상 사는 처세의 기본이리라.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겉으로 강경한 사람이 많고 더 주목을 받기도 한다. 특히나 대부분의 통치자들은 지나치게 강건하고 탐욕스럽고 거칠며 눈앞의 성공과 이익에만 급급한 면이 있다. 하지만 부드럽고 약한 것은 쉽게 부러지지 않고 모서리에 부딪쳐도 깨지지 않으니 실은 약한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유연함의 표현이다. 이런 유연한 도리를 바탕으로 천하를 얻은 인물이 있다. 바로 후한의 개국황제 광무제 유수(劉秀)다.
그는 일개 평민에서 일어나 역사에 빛나는 명군으로 성장했다. 왕망의 신나라를 멸망시키고 한 왕조를 다시 부활시켰다. 왕망 정권의 제도 개혁 실패와 잇따른 실정으로 도처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그는 한 왕조 부흥이라는 기치를 높이 들고 봉기했다. 서기 23년 유수는 경시제의 부장으로 출전하여 허베이성 곤양 전투에서 왕망군을 대파했다. 서기 24년 유수는 마침내 한단을 함락하고 도망치는 왕랑을 추격하여 목을 베었다. 그 후 유수는 한단에서 왕랑과 지방 호족들 사이에 오고간 수천 통의 비밀문서를 압수했으나 그는 이 문서를 제장들이 보는 앞에서 불살라버렸다. “왕랑과 내통한 자들은 이것으로써 안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일은 유수가 녹록치 않은 인물임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경시제는 명망이 높아가던 유수의 형 유연을 시기해 죽였다. 유수는 형의 억울한 죽음에 대하여 가슴 속에서 분노가 치밀어 올랐지만 꿈 참고 아무런 표정도 드러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경시제에게 사죄하는 여유를 보였다. 그리고 형의 장례식도 거행하지 않고 평소 가깝게 지내던 친척과 친구와의 교제도 끊었다. 그는 잘 알고 있었다. 큰일을 도모하려면 참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것을. 장안으로 들어간 적미군은 경시제를 죽였다. 유수는 적미군을 토벌하고 수도를 낙양으로 옮겨 후한 왕조를 창건했다. 그때 그의 나이 31세였다.
광무제는 민간에서 성장해 진실과 거짓을 알았다. 농사의 어려움과 백성들의 괴로움을 알았다. 그러므로 천하가 평정되자 안정에 힘썼다. 왕망의 번거롭고 촘촘한 법을 없애고 한의 가벼운 법을 회복했다. 몸소 거친 명주를 입고, 색은 여러 가지를 쓰지 않았다. 백성들에게 휴식을 제공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경제와 사회가 안정되어갔다. 어진 임금 밑에 어진 신하가 있듯이 광무제 치하의 중신 가운데는 어진 사람들이 많아 정치는 더욱 평화로웠다.
유수는 근엄하고 반듯한 사람이었다. 창업 군주에게 흔히 발견되는 파격과 거친 면을 찾아볼 수 없었다. 매사를 신중하게 중론을 물어가며 온건하게 처리했다. 그는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는 통치술을 체득한 사람이었다. ‘저는 부드러운 도리로 천하를 얻었을 뿐 아니라, 또한 부드러운 도리로 천하를 다스리고 있다’고 말하곤 했다. 후대 학자들은 이를 유도치국(柔道治國)이라고 불렀다. 전국을 평정한 광무제는 모든 면에서 무리하지 않고 우선 민생회복에 주력했다.
그의 가장 큰 장점은 너그러움이다. 형 유연을 죽인 주유조차 용서했다. 그는 황제에 오른 후 주유가 주둔한 낙양을 포위하고 투항을 권유했다. 주유는 ‘내가 그의 형을 죽였는데 어찌 투항하겠는가’라며 거부했다. 그러나 유수는 ‘대업을 일으키는 자는 자그마한 은원을 따지지 않는 법’이라며 주유를 용서했다. 그는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격언을 늘 군신들에게 강조했다. 매사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공무를 처리하고 행동거지도 마치 살얼음 위를 걷거나 깊은 연못 앞에 선 것처럼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늘 근검절약을 강조했다. 지방 특산물과 진귀한 음식을 조정에 바치는 관행을 폐지했다. 27년 특별 조서를 내려 “각 군국이 보내온 산해진미는 절대로 받지 말 것이며, 감히 금령을 어기는 자는 엄벌에 처하겠다”고 천명했다. 그는 매사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공무를 처리하고 행동거지도 마치 살얼음 위를 걷거나 깊은 연못 앞에 선 것처럼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무제는 중원 2년 63세를 일기로 영면했다. 그는 뼈와 살을 깎는 비상한 노력으로 천하를 평정하고 천하를 다스렸다.
지난해에 작고한 엘리자베스 여왕은 겸손 온유 통합으로 영연방의 지속성을 보여주었다. 국가의 영속성이란 죽은 자의 희생 위에 산 자의 헌신이 보태져야 가능한 것이다. 죽은 위인을 산 자들이 부활시키지 않는 한 국가의 영속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부드러운 연성(軟性) 리더십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 강한 리더십이 박력이 있고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지만 외형적이고 일시적인 변화일 수밖에 없다. 비루한 산 자들이 날뛰고, 서로 물고 뜯는 모습에 신물이 난 참에, 먼 땅에서 거행된 오랜 왕실의 장례식은 이런 역사의 지혜를 전해주었다.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하고 굳센 것을 누른다. 노자의 도덕경에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사람은 생명을 유지하고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약하지만 죽음을 당하게 되면 굳고 강해진다. 풀과 나무도 살아있을 때는 부드럽고 연하지만 죽게 되면 마르고 굳어진다. 그러므로 굳고 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이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다. 그렇기 때문에 군대가 강하게 되면 멸망하고 나무가 강해지면 꺾이게 된다. 강하고 큰 것은 아래에 자리하게 되고 부드럽고 약한 것이 위에 자리를 잡는다. 이 세상에서 물보다 더 부드럽고 약한 것은 없다. 그렇지만 굳고 강한 것을 치는 데 물보다 나은 것은 없다. 물의 역할을 대신할 만한 것은 없는 것이다.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고 부드러운 것이 굳센 것을 이긴다는 것은 세상 사람 모두가 알건만 그 이치를 실행하는 사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