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가 저문다. 누구나 이맘때쯤 되면 그간 살아온 날들을 돌이켜보고, 살아갈 날들을 그려본다. 희망으로 풍족해지기도, 시름이 깊어지기도 하지만 모두에게 나이는 차곡차곡 쌓여만 간다. 하루가 모여 한 달이 되고 석 달이 모이면 한 계절이 된다. 사계절이 흐르면 일 년이 되고, 그 일 년들이 모여 일생이 된다. 일 년이 사계절이듯, 하루도 사계절이고 일생도 사계절이다. 생로병사가 곧 춘하추동 아닌가. 산다는 건 이 리듬을 따라 흘러가는 일이다. 청년은 청년답게, 노년은 노년답게. 이것이 인생이고 또 자연이다. 어떻게 하면 이 자연스러운 리듬을 구현해낼 것인가. 인류는 오랫동안 이 과제를 탐구해왔다.
키케로의 〈노년에 관하여 〉도 그런 지혜의 산물이다.. 키케로는 말한다. “인생과 자연의 길은 하나뿐이며, 그 길은 한 번만 가게 되어 있네. 그리고 인생의 매 단계에는 고유한 특징이 있네. 소년은 허약하고, 청년은 저돌적이고, 장년은 위엄이 있으며, 노년은 원숙한데, 이런 자질들은 제철이 되어야만 거두어들일 수 있는 자연의 결실과도 같은 것이라네.” 이렇게 정리하면 노년은 결코 하위개념이 아니다. 청춘이 아무리 아름답고 힘차다 한들 거기에서 원숙함은 불가능하다. 원숙함이란 능력이나 재능 따위가 아니라 시간과 더불어 흘러간 이들에게만 허락되는 미덕이기 때문이다. 예나 이제나 사람들은 노년을 두려워하거나 경멸한다. 노년을 청년의 결핍으로 여기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쾌락을 즐기지 못한다는 점 때문이다. 거기에 대한 키케로의 태도는 아주 단호하다. “세월이 정말로 젊은 시절의 가장 위험한 약점으로부터 우리를 해방해준다면, 그것은 세월이 우리에게 주는 얼마나 멋진 선물인가!” 쾌락은 인생의 특권이 아니라 약점이란다. 더 나아가 “자연이 인간에게 준 역병 가운데 쾌락보다 더 치명적인 것은 없다.”
그렇다면 노년의 삶은 무엇으로 채워지는가? 왕성한 탐구열’이 아닐까. 나이가 들수록 배움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만나는 사람 모두에게서 무엇인가를 배울 수 있는 사람, 마주치는 모든 사물에서 무엇인가를 배울 줄 아는 사람이 세상에서 가장 현명하다’는 말은 탈무드에 나오는 말로 지속적인 배움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인간은 늘 공부해야 한다. 부는 물려줄 수 있지만, 지식은 물려줄 수 없고, 지식이 없으면 아무리 큰돈을 남겨준 들 결코 지킬 수 없는 세상이다. 지식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지금 이 시기에 배움을 중단한다는 것은 삶을 포기하는 것만큼이나 위험한 일이다. 중요한 것은 계속해서 배우려고 노력하는 자세다.
공부란 무엇일까? 공부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계속 깨뜨리는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이 틀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가는 과정이다. 세상에는 내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훨씬 많아서 함부로 자기주장을 펴는 게 위험하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다. 공부할수록 공부할 게 늘어나고, 공부하지 않을수록 공부할 게 없어지는 법이다. 공부하면 유연해지고 공부하지 않으면 고집스러워진다. 자기가 아는 세계가 전부라고 착각하게 된다. 배움을 멈추고 과거에 머무르면, 더 빨리 늙는다 어느 순간이 되어 자의든 타의든 이 배움의 속도가 늦춰지면서 몸과 마음과 정신이 점차 쇠락해 간다. 더는 그 사람의 세계가 확장되거나 깊어지지 않기 때문에 현 상태로 머무르거나, 대부분은 쪼그라든다.
사람들은 호기심을 잃는 순간 늙기 시작한다. 세상을 다 아는 것처럼 착각하고, 그날을 그날처럼 낭비할 때 늙는다. 공부하면 사고가 유연해진다. 사람은 공부를 하지 않으면 고집불통이 된다. 다른 세상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자기 생각이 옳고 최고로 착각하게 된다. 세상을 이해하는 폭이 좁아진다. 현대 사회는 너무 복잡해지는 한편 분절화됐기 때문에 전체를 읽어내는 눈이 없다면 세상을 자신의 관점으로만 보고 판단하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세계관이 하나인 사람은 세상을 하나의 방향으로만 이해한다. 자신과 조금만 달라도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한다. 극단적 우익이나 좌익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주변 사람을 불편하게 만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자신만의 우물 속에 갇혀 있으면 우물 속에서 외롭게 죽을 수도 있다. 공부를 많이 하면 삶이 풍요로워진다. 다양한 나무가 자라는 숲과 같다.
나이 듦을 통과하는 길은 여러 갈래고 그 안의 과정이 착륙인지, 이륙인지 마음먹기에 따라 인생 2막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긴긴 노후를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랑을 주고받는 러브에이징 시기로 만들려면 “내가 왕년에는…” 식의 독단적 태도부터 버려야 한다. 그 대신 ‘조선 시대 왕보다 훨씬 더 편리한 세상에서 두 배나 오래 사는 행운’에 감사하면서 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품고, 사랑할 수 있어야 한다. 한 살이라도 젊을 때부터 건강한 생활 습관과 더불어 좋은 인격과 지혜를 갖춰 사랑으로 교감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최선을 다하는 노인의 삶은 아름답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단순히 늙어가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생에 대해 더욱 완숙해지고, 더욱 풍부해지는 것이 아닐까. 우리가 진실로 두려워해야 할 것은 나이 들고 늙는 그 자체가 아니라, 정신의 완숙이 없이 육체만 늙어버린 상태이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가 진실로 싫어하고 경계해야 할 것은 외형의 주름살이나 구부러진 허리가 아니라, 아직도 다스리지 못한 욕망을 덕지덕지 내보이며 생리적 연치만 내세워 심술을 부리는 그런 노년의 상태일 것이다. “안코라 임파로!” ‘나는 아직도 배우고 있다’는 뜻의 이탈리아 말이다. 미켈란젤로가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에 그림을 완성하고 나서 스케치북 한쪽에 적은 글이란다. 87세 때 일이다. 미켈란젤로보다 우리는 비교적 아직 젊다. 우리는 모두 살아야 하고 잘 살아야 한다. 잘 살기 위해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안코라 임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