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 하루를 일찍 시작하는 ‘아침형 인간’이 멸종한 고인류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토니 카프라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특정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있으면 아침형 인간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오늘날 인류의 유전자를 네안데르탈인과 또 다른 멸종 고대 인류 종인 데니소바인의 디옥시리보핵산(DNA)과 비교했다.
이들은 영국의 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럽인 조상을 둔 사람 수십만 명의 건강·유전 정보를 확보해, 네안데르탈인 몇 명과 데니소바인 한 명의 뼈·치아 화석에서 추출한 DNA와 함께 분석했다.
밤낮 생체리듬과 연관된 246개의 유전자를 확인한 결과, 이 중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나온 특정 유전자들을 가진 사람들이 일찍 일어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카프라 교수는 “우리는 많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변이가 아침형 인간이 될 경향과 일관되게 연관돼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약 30만년 전 최초의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다. 이들 중 일부가 약 7만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 대륙으로 진출했다. 그곳에서 살던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과 혼혈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오늘날 유럽인·아시아인 유전자의 약 2%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온 것으로 추정된다.
카프라 교수는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은 자연의 밤낮 시간대 변화에 더 빨리 적응하는 생체 리듬과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자연의 밤낮 시간대 변화를 더 빨리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응하는 사람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적응 능력은 인류가 탄생한 아프리카보다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이 살았던 고위도인 유라시아가 지역적으로 도움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진은 해석했다. 저위도인 아프리카는 해가 뜨고 지는 시간의 계절별 차이가 크지 않지만 고위도인 유라시아는 아프리카에 견줘 크기 때문이다.
다만 아침형 인간 여부를 결정하는 변수가 성격 등 매우 복잡하며, 이를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슈아 어키 프린스턴대 교수는 일부 네안데르탈인 유전체가 아침형 인간이라는 특성에 기여했을 수 있지만, 아침형 혹은 올빼미형 인간의 구분을 완전히 네안데르탈인 조상의 유전자로만 결정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정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있으면 아침형 인간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지놈 생물학과 진화(Genome Biology and Evolution)’ 최근호에 실렸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