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성 암은 크기가 작더라도
암세포가 이미 온몸에 퍼져
수술하면 전신에 퍼질 수 있어
전이 가능성 신중히 검토해야
암 병기는 T(Tumor) 병기, N(Nodes) 병기, M(Metastasis) 병기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T 병기는 종양의 크기에 따라 세부 단위로 나누어지는데, Tis(상피내암)는 암세포가 원발 부위에만 국한된 것을 말하며, T1은 암이 점막에 침투한 암이 아주 작은 병기이다. T2는 점막하층, T3는 근육층이나 장막까지 침범한 경우, T4는 인접한 장기를 침범한 경우를 의미한다.
N 병기는 암의 국소 림프절로의 전이 정도로 구분한 것이다. N0는 림프절 침범이 없는 암, 가장 림프절 전이 정도가 높은 N3은 종양이 멀리 떨어져 있는 림프절이나 수많은 국소 림프절로 침범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원격 전이 병기는 M 병기로 표현되며 암이 국소 림프절을 넘어 더 멀리 떨어진 다른 장기에도 침범한 경우를 M1, 원격전이가 없는 암을 M0로 표현한다.
암 전이는 암의 원 발생 부위로부터 근처 조직으로 암세포가 이동하는 국소 전이와 암 발생 부위에서 가까운 림프절에 암세포가 움직이는 림프절 전이, 그리고 혈관을 타고 먼 조직까지 이동하는 원격전이가 있다.
보통 1기~2기는 림프절 전이가 없는 T 병기를 의미하며, 림프절로 국소 전이가 일어난 N 병기의 경우 보통 3기 암으로 진단하고 타 장기에 원격전이가 일어난 M 병기의 경우 4기 암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3기 암은 전이성이 약한 중간 정도의 암이며 4기 암은 전이성이 강한 사나운 암으로 예후가 좋지 못하다.
순한 암인지 사나운 암인지 암의 운명은 암세포 초기부터 이미 정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암 발생 초기부터 전이 능력이 있는 암을 전이성 암이라고 한다. 전이성 암은 수술이나 항암제로는 해결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배아성 암 줄기세포인 전이성 암은 항암제로 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검진불가한 0.1cm 크기에서 이미 온몸에 전이를 마쳤기 때문이다.
이때 전이성 암을 수술할 경우 이미 암 씨앗이 뿌려진 타 조직에서 암이 온몸으로 급격하게 퍼지고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병원 검진에서 암이 검진 된 경우 혹시 전이성 암일지도 모르기 때문에 암이 날뛰지 않도록 바로 수술을 서두르지 말고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수술이나 항암치료로 암이 제거되었다면 전이성 암이 아닌 순한 암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수술이나 항암치료에 의해서 면역력이 약해지고 혈전이 대량 발생하면서 암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전이성 암이 모두 말기 암이 되는 것은 아니다. 설령 전이성 암 일지라도 면역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잠자는 전이성 암인 경우 장수하는 경우를 주변에서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1~2기 암은 전이성이 없는 순한 암이거나, 아직 전이에 대한 운명이 결정되지 않거나 확인되지 않은 암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기라고 진단받아도 전이성이 높은 암일 경우 크기와 관계없이 전신에 전이가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암의 병기 구분은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세포 내 산소공급률 65% 미만에서 배아성 줄기세포인 전이성 암이 발생한다. 암은 암 줄기세포로부터 시작된다. 암 줄기세포는 발암물질 노출과 저산소 환경에서 인간의 성체줄기세포나 체세포로부터 역분화되어 만들어진다.
암 줄기세포는 성체성과 배아성 2가지로 분류된다. 성체성 암 줄기세포는 분화성 즉 전이성이 거의 없는 순한 암이며, 세포 내 산소공급률 65% 미만의 저산소 환경에서 유도되는 배아성 암 줄기세포는 전이성이 강한 사나운 암이다. 실제 암 조직에서는 두 가지 암 줄기세포가 섞여 있는 경우도 흔하게 있어 CT, MRI, 조직검사 등으로 어떤 암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