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기대수명은 현재 남자 79.9세, 여자 85.6세 ‘최상위’
비만 등 비질환 위험 탓 과거 30년보다 증가세는 둔화
지구촌 기대수명이 2050년까지 5년 가까이 늘어날 것이란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dpa통신이 16일 보도했다.
워싱턴대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의 국제 연구 컨소시엄 ‘국제질병부담'(GBD)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50년 사이 남성의 기대수명은 71.1세에서 76세로, 여성은 76.2세에서 80.5세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른 세계인 기대수명은 2022년 73.6세에서 2050년에는 4.5년 증가한 78.1세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대수명은 새로 막 태어나는 아기가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를 말하는 지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2022년 현재 남자 79.9세, 여자 85.6세로 선전국들 중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한다.
전세계 건강기대수명은 2022년 64.8세에서 2050년 67.4세로 2.6년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건강기대수명은 기대수명을 확장한 개념으로, 심각한 질병이나 장애에 시달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연수를 말한다.
전문가들은 현재 기대수명이 짧은 나라일수록 향후 기대수명 연장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공중보건 정책 덕분에 심혈관 질환, 코로나19 등 다양한 전염병, 출산, 출생 등에서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추정되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2050년까지 예상되는 전 세계 기대수명은 코로나19 이전 30년 동안 이뤄진 기대수명 증가 폭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지적한다.
다음 세대에는 심혈관 질환, 암, 당뇨병과 같은 비전염성 질환, 비만, 고혈압, 건강하지 않은 식단, 흡연과 같은 비전염성 질환과 관련한 위험요소에 대한 노출이 건강 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크리스 머리 IHME 소장은 전반적인 기대수명의 증가뿐만 아니라 지역에 따른 기대수명의 차이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머레이 박사는 소득 차이에 따른 지역 간 건강 불평등 현상은 계속되겠지만 그 격차는 줄어들 것이라면서 특히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 지역의 기대수명 급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1990년~2021년 사이 204개 국가와 지역의 88개의 위험 인자와 관련 건강 결과를 기반으로 추정한 결과, 고혈압과 등 대사적 위험 인자로 인한 건강 악화와 조기 사망에 따른 총손실 연수가 2000년 이후 49.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