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티나 카우(Tina Kauh)는 1970년대에 미국으로 이민와 필라델피아에서 식료품점을 운영하던 부모님을 잊지 못한다. 그는 “저희 부모님은 하루 14-15시간씩, 주 7일 일했다. 흔히들 ‘열심히 일했기 때문에 성공했다’고들 하지만, 부모님이 어렵게 일하면서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건강에 큰 영향을 입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카우 씨는 펜스테이트를 졸업해 사회과학자가 된 후 한가지 의문을 느꼈다고 말한다. “저희 부모님이 겪었던 일은 다른 아시아계 이민자 가정들도 똑같이 겪었을 것이다. 그러나 아시아계 부모와 가족들이 겪는 고난에 대한 학계 연구결과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아시아계 이민자의 건강에 대한 연구를 구상했으나, 자금지원을 받을 수가 없었다. “아시아계에 대한 통계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도 없기 때문”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현재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RWJF) 수석 프로그램 책임자로 근무하는 카우 씨는 “한인을 비롯한 아시아계는 현재 미국 인구의 6%를 차지하지만, 국립보건원(NIH) 연구자금의 불과 1% 미만이 아시아계 건강 연구에 할당되고 있다”며 “아시아계 연구의 필요성을 입증할 데이터가 너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카우 씨의 말처럼, 미국 정부기관 및 공식 통계에는 한인 등 아시안에 대한 통계가 매우 부족하다. 센서스 등 각종 설문지에 ‘백인’ ‘흑인’ ‘라티노’ 정도만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시안’ 또는 ‘코리안’이라고 적힌 설문지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아시안, 또는 한인에 대한 별도의 통계자료도 존재할 수가 없다.
따라서 한인들은 정부기관 설문조사에 자신의 인종을 ‘기타’ 항목에 체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한 한인 선교사는 선교사업을 위해 정부기관을 드나들 때마다, 입구의 경찰이 자신의 인종을 ‘흑인’으로 체크하는데 대해 불만을 느끼지만, 직접 대놓고 말하기 어려웠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이런 경우를 겪은 한인들은 의외로 많을 것이다.
타인종들도 이런 사정은 마찬가지다. 리더십 컨퍼런스 교육 기금의 미타 아난드(Meeta Anand)는 아이티인 어머니와 인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설문지를 작성할 때 내 정체성에 대해 선택할 항목이 없어서’기타’ 항목에 적어야 했다”고 말했다.
정부기관의 이러한 관행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방 예산관리국(OMB)은 지난 3월 28일 센서스국과 연방 기관이 시행할 새로운 데이터 수집 기준을 발표했다. 새 기준은 아시안, 한인 등 다양한 내용을 통합한 질문을 도입하고, 자신의 인종을 한가지만이 아닌 여러가지로 선택할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패닉-한인부부의 자녀는 설문조사에 ‘히스패닉’과 ‘코리안’을 동시에 선택할수 있는 것이다.
RWJF의 이사인 게일 크리스토퍼 박사(Dr. Gail Christopher)는 “민주주의의 건강과 생존 가능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인구의 실제 경험을 반영하는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 이 순간이 미국에서 인종 문제를 직면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의의를 밝혔다.
최근 한인타운에 한인들이 늘어나면서 주류정치인들이 한인들에 대해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이 정책을 수립하면서 언제나 하는 질문은 “한인 인구가 모두 몇명이냐”이다. 그러나 센서스 이외에는 ‘한인들만 다룬’ 조사가 거의 없다시피한 현실이다.
한인들은 이제 더 이상 ‘기타’ 항목이어서는 안된다. 센서스 등 다양한 정부기관 조사 및 설문지에 ‘아시안’ ‘코리안’ 항목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