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와 장자로 대표되는 도가(道家)는 무위자연(無爲自然) 네 글자로 압축된다. 순리를 인위적으로 거부하지 말고, 자연의 뜻을 거스르지 말라는 뜻이다. 장자의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책이 〈장자〉다. 장자는 풍자적이고 비유적인 이야기로 도가 사상의 본질을 짚어준다.
그런 점에서 장자는 뛰어난 이야기꾼이다. 〈장자〉 첫머리에 ‘붕(鵬)’이라는 새 이야기가 나온다. 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으니 그 이름이 곤(鯤)이다. 곤의 크기가 몇천 리인지는 알지 못한다. 곤이 변해 새가 되는데 그 이름이 붕(鵬)이다. 붕 또한 크기가 몇천 리인지는 알지 못한다. 한데, 이 새가 한번 힘을 써 날면 그 날개가 마치 하늘 전체를 뒤덮는 구름과 같고 바다를 뒤집을 만큼 큰바람이 인다. 붕은 그 바람을 타고 북쪽 바다 끝에서 남쪽 바다 끝까지 날아간다. 붕새가 남쪽 바다로 날아갈 때는 물결치는 것이 3000리다.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 리나 올라간 붕새는 6개월 동안 계속 난 다음에 비로소 날개를 쉰다.
‘붕정만리(鵬程萬里)’는 ‘붕새가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 리를 올라간다’는 글에서 유래했다. 붕새가 단번에 1만 리를 난다는 뜻으로, 앞길이 매우 멀고도 큼을 일컫는다. 대자연의 웅대함이 형용할 수 없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붕정(鵬程)은 붕새가 나는 것과 같이 지극히 먼 거리를 뜻한다. 붕새가 9만 리를 날 듯, 보통 사람들은 생각지도 못할 원대한 꿈이나 계획을 빗대어 붕정만리라는 표현을 쓴다.
‘참새가 어찌 대붕의 뜻을 알겠는가’라는 말도 〈장자〉에서 나왔다. 장자는 붕새를 빌려 세상 사람들의 상식을 뛰어넘어 무엇으로도 잡을 수 없는 자유로운 정신세계를 나타내려고 한 듯하다. 그림자가 수천 리까지 드리워진 나무, 강에 띄우고 사람이 탈 만큼 큰 박도 마찬가지다. 선을 긋지 않고, 가두고 갇히지 않는 게 도가의 사상이다. 장자는 지혜가 얕고 상식에 갇힌 사람을 참새에 빗댄다. 참새는 자신의 공간이 세상 전부인 줄 알고 그곳을 벗어날 상상조차 못 한다. 그러나 대붕은 큰 뜻을 세우고 때를 기다린다. 그러니 참새가 대붕의 뜻을 어찌 알겠는가.
리처드 바크의 〈갈매기의 꿈〉도 같은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전직 비행사였던 작가가 비행에 대한 꿈을 실현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갈매기 조나단 리빙스턴의 일생을 통해 모든 존재의 초월적 능력을 일깨운 신비주의 소설이다. 조나단 리빙스턴은 나는 것에 관심 없고 선창가와 고깃배 주위를 맴돌며 먹는 것에만 관심 있는 동료 갈매기들에게 실망한다.
갈매기는 날 수 있게 되면서 물고기를 사냥하는 법을 배운다. 갈매기는 조약돌을 물고 하늘로 올라간다. 그런 후에 조약돌을 떨어뜨린 뒤 쏜살같이 하강하면서 그 조약돌을 채는 연습을 한다. 이런 연습을 수도 없이 반복한다. 처음에는 낮은 높이에서 시작해서 점차 높이 올라가 조약돌이 떨어지는 거리를 늘려가며 조약돌을 채는 연습을 반복한다. 나중에는 까마득한 높이에서 조약돌을 떨어뜨리고는 아주 빠르게 조약돌을 낚아챈다.
이런 연습을 하는 동안 갈매기들의 부리에서는 피가 흐른다. 그런데도 갈매기들은 완벽한 사냥 실력을 쌓을 때까지 연습을 멈추지 않는다. 그런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갈매기들은 사냥에 실패해 굶어 죽어야 할 것이다. 갈매기들도 자신들의 생존이 달린 사냥법을 익히는데 죽을힘을 다한다. 몸 일부가 상해서 피가 난다 해도 연습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이런 갈매기의 모습을 우리는 배워야 한다. 우리가 미물이라고 여기는 갈매기도 그렇게 피나는 노력을 하여 생존하는 것이다.
조나단 리빙스턴은 먹고사는 문제에 만족하는 그런 갈매기가 아니다. 이상을 위해,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특이한 갈매기다. 그러기에 조나단은 동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한다. 그러나 조나단은 동료들로부터 추방당하면서까지 끊임없이 비행 속도를 돌파하고자 도전한다. 조나단이 한계 속도에 도전하기 위해 애를 쓰고 있을 때 엄마가 말렸다. 그러자 조나단은 이렇게 말한다. “엄마, 저는 뼈와 깃털만 남아도 괜찮아요. 오직 내가 알고 싶은 것은 내가 창공에서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또 무엇을 할 수 없는지 알고 싶을 뿐이에요.”
작가가 조나단 갈매기의 일생을 통해 일관되게 설파하는 이념은 ‘자유’다. 외부는 물론 자신으로부터도 억압받거나 방해받지 않으며 내면의 목소리에 따라 자신을 연마한다면 무한한 능력을 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 작가는 강조한다. 기존 질서에 순응하기보다 진정한 삶을 향한 껍질 깨기를 주문하는 것이다. 외부로부터의 속박, 품위라는 전통의 옷을 벗고 자신을 찾아나선 1960년대 청년문화의 정수를 보인 것이다.
기성의 틀, 한계의 틀에서 벗어난다면 인간도 ‘위대한 경지’에 이를 수 있음을, 더 높이 날고 더 멀리 볼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그런 염원을 조나단의 입을 빌어 세상에 전하고 있는 것이다.“우리는 스스로 무지로부터 벗어나 발전을 꾀할 수 있다! 우리는 탁월하고 우수한 지적 수준을 소유했으며 재능 또한 풍부하다! 우리는 자유로워질 수 있다! 우리는 스스로 자유에 충만한 삶을 배울 수 있다!”
이 작품이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는 것은 삶의 숭고한 목적을 찾으려는 끊임없는 노력과 인간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사랑 때문일 것이다. 자유를 선택하는 삶의 가치, 인간은 누구나 위대한 가능성을 내면에 간직하고 있다는 깨달음의 메시지… “꿈이 없이 살아가는 생명이 있을까? 꿈이 없다면 그건 생명이 아니야…” 그나저나 꿈이 없으면 생명이 아니라는데 나는 어떤가? 이제 새삼 꿈을 찾아 나서기엔 너무 늦은 걸까? 꿈을 꾸는데 늦은 때란 없다. 있을 수 없다. 그렇다. “꿈꾸러기’에게는 나이가 없다. 그렇게 믿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