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발생한 글로벌 정보기술(IT) 대란으로 인한 비용이 10억 달러가 넘을 수 있으며, 보상은 소송을 거쳐 정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 19일 사이버 보안업체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가 배포한 보안 프로그램이 MS 윈도와 충돌하면서 기기 850만대에 ‘죽음의 블루스크린'(Blue Screen Of Death·컴퓨터 화면이 갑자기 파랗게 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세계 곳곳에서 5000편 이상의 항공기 운항 지연·취소, 방송·통신·금융 서비스 차질 등의 피해가 속출했다. 병원 수술이나 화물 배송이 중단되고 방송사 일기예보에는 손으로 그린 지도가 등장했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의 최고경영자(CEO)인 패트릭 앤더슨 이번 글로벌 IT 대란의 비용이 10억 달러를 쉽게 넘길 것이라고 말했다고 CNN이 21일 보도했다. 앤더슨 CEO는 “이번 사태는 훨씬 더 많은 소비자와 기업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복구하기 어려운 피해가 발생했다”며 “특히 항공편 취소에 따른 수입 감소와 항공편 지연에 따른 인건비·연료비 추가 지출 등으로 인해서 항공사에 큰 비용이 발생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보상과 관련해서 소송이 제기될 가능성을 매우 높게 본다고 CNN이 전했다.
한 전문가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고객 계약에 면책조항이 들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연구원 제임스 루이스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계약상 법적으로 보호받는다고 추측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대법원이 2020년 러시아의 연방 정부기관 해킹과 관련,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IT 네트워크 관리업체 솔라윈즈를 고소한 사건을 기각했다고 말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연간 수입은 연 40억 달러에 약간 못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