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은 많은 것을 바꿔 놓았다. 경제상황은 전쟁과 인플래이션으로 예측할 수 없는 변화에 어려움을 직면하고 있다. 어느덧, 높은 이자율에 익숙해지면서 뉴 노멀 시대에 점차 적응해 가능 모양새다. 팬데믹과 바로 그 이전시대를 한번 들여다 보자.
이자는 0%에 근접하고, 전기차의 등장과 SPAC주식 혹은 밈 주식등으로 주식시장이 뜨거웠던 시절이다. 이러한 투자시장에 익숙치 않던 예비 은퇴자나 은퇴자들은 낮은 이자율에 고전하고 변동성 큰 주식시장에 마땅한 은퇴 자산 투자처를 찾기 어려워 하던 시기였다. 또한, 은퇴자금으로 인출하는 자산총액이 4%를 넘기지 말아야 한다는 소위 4%룰이 명제처럼 얘기되던 시기 이다. 늘어난 예상 수명으로 노후에 은퇴자산이 고갈되는 것을 걱정해서 투자 전문가들이 과거 주식시장의 투자 수익률을 배경으로 은퇴자들에게 정답처럼 말하던 얘기이다.
이글을 쓰고 있는 현재 시점의 미국 10년물 국채의 이자율은 4% 중반대이다. 팬데믹과 그이전시대의 3~4배에 해당할 만큼 많이 상승하였고 앞으로도 이러한 높은 이자율의 상황은 뉴노멀로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투자자금의 인출에 대한 4% 룰은 지금도 그대로 적용된다.투자시장의 전망은 희망과 불안을 함께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에서 그동안 산전수전을 다 겪은 분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아도 될 룰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주변에 있는 대부분의 개미 투자자인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4%룰을 지키더라도 투자손실에 대한 부담감은 가지고 갈 수 밖에 없다. 투자 손실에 대한 결과는 노후 은퇴 자산 고갈과 직결되기 때문에 부정적 투자 결과에 대한 부담은 너무나도 크다.
하지만,팬데믹이 가져온 이자율의 변동은 보험업계에 큰 지각 변동을 가져왔다. 연금상품으로의 자금이동이 이를 얘기해 주고 있다. 2022년과 2023년 두해 동안에만 보험사의 연금상품으로 이동한 자산은 총액이 6500억달러에 달한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2024년 5월기준 4100억달러라고 하니, 그 금액이 어느정도인지 가늠해 볼 수 있다.
보험사로의 자산이동의 이유는 간단히 찾아 볼 수 있다. 높은 이자율을 바탕으로 은행과도 자금유치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고, 소비자가 만족할만하게 구성된 상품들을 경쟁적으로 내어 놓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보험사에서의 연금상품은 종신지급 보장금액이 65세를 기준으로 불입 후 즉시 지급가능한 연금이 불입금 총액의 8%를 육박하고 있다. 65세 이상이라면 그 이상도 가능하다. 5% 이상을 인출한다면 투자결과에 따라 노후에 자산고갈이 우려되니 4%를 넘기지 말아야 한다고 안내하는 유수한 투자 전문가들의 충고가 크게 의미가 없어질 수 있을 정도이다. 연간 8% 가까운 자금을 인출하되, 그 금액은 종신 보장을 지급받고 모든 투자의 책임을 보험사에게 전가는 하는 형식을 갖춘 연금상품이다. 팬데믹 이전에 은행의 이자율이 0%에 근접하였었으니, 그 당시에 은행에 예치된 자금에서 만약 연8%를 인출하였다면 인출후 13년 정도 후에는 원금이 고갈되었을 것이다.
은퇴 자산의 관리는 목적에 따라 달리 관리되어야 한다. 팬데믹이 가져온 큰 변화인 이자율 상승은 입장에 따라 어려움을 가져오는 분야도 있겠지만, 은퇴자산관리에 있어서는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니 투자 포트폴리오에 꼭 추가하기를 추천한다.
▶문의: 770-820-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