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이어 금년에도 연방정부의 재정보조계산에 있어서 지속적인 애러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연방정부 학생재정보조신청서인 FAFSA가 재정보조금 내역에서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적지만 연방보조금과 주정부 보조금이 주를 이루고 있는 주립대학의 경우에는 이러한 애러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재정보조를 위한 사전준비와 신청 및 대학의 진행과 마무리 작업등은 최소한 해당 가정에서 실수가 없어야 한다.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실제로 재정보조 불이익을 직접 당하기 전까지는 필자가 왜 이를 얼마나 강조했는지에 대한 필요성을 체감하지 못한다. 단지, 아직 시간이 더 남았으니까, 혹은 결과를 기다려 봐야지 등 이미 신청서 제출은 했는데 하면서 안이하게 대처하다 재정보조 불이익을 크게 겪는 결과를 많이 목격한다. 한번의 재정보조 실수에 1~2천달러가 잘못나오는 것이 아니다.
최소한 수천에서 수만달러에 달하며 첫연도에 잘못하면 이를 기준으로 다음 연도의 예산을 잡게 되므로 되도록 재정보조 공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지원하는 대학이나 재학하는 대학에서 적용하고 있는 재정보조 계산기준을 확인해 신중히 진행하기 바란다. 그리고, 지원받은 재정보조 내역들이 과연 올바르게 잘 나왔는지 여부를 잘 가늠할 수도 있어야 한다. 재정보조 극대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설계가 기본사항이다. 사전설계라기 보다는 현 재정상황을 X-Ray찍어서 어떠한 부분에서 설계를 통해 SAI (Student Aid Index)금액을 낮출 수 있는 지 여부도 확인해 대처방안을 마련한 후에, 실제로 실천해야만 재정보조 신청을 위한 사전준비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사전설계를 모두 마쳤다고 해도 지원하는 대학마다 얼마나 재정보조 계산을 어떻게 하는 지 여부를 잘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재정보조지원을 잘 하는 대학들만을 묶어서 한번에 신청서에 Batch로 지원해야만 이러한 대학들이 서로 재정보조 지원경쟁을 통해 더 나은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다시말하면, 재정보조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대학선택이라 할 수 있다.
재정보조의 사전설계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수입부문과 자산부문인데, 자녀가 대학을 등록하는 해보다 재정보조 신청서에는 2년전의 수입이 적용되고 현재 자산상황으로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한다. 따라서, 재정보조의 사전설계는 이러한 시기 이전에 시작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수입부문에 있어서 1년에 한번 세금보고를 하므로 재정설계에 대한 시기와 전략을 적절히 세워 진행해야 할것이다. 자산부운은 지속적으로 이자와 배당금 또는 양도소득이나 손실 등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타이밍을 맞추는 것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집을 판 목돈을 은행에 예치해 놓았는데 조금이라도 이자를 더 받기 위해 CD에 묶어 놓았을 경우 발생하는 큰 이자는 다음 해에 세금보고할 때에 Schedule상에 나타나고 아울러 금융기관도 기재되어 실제로 재정보조 신청서를 제출할 당시에는 그만한 현금이 없다고 해도 대학에서 반드시 해명을 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러한 이자를 받지 않는 편이 더 재정보조에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세금보고서에는 큰 이자가 있으므로 대학에서 이를 역계산해 큰 목돈이 있을 것으로 가정해 재정보조가 왜 필요할지 의문을 갖고 재정보조 지원도 예상보다 덜 지원해 줄 것은 불보듯 뻔한 이치이다. 재정보조 신청서 제출 시 이러한 돈이 없다고 하면 반드시 입증과 검증과정을 거쳐 답변이 잘못되면 큰 불이익을 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산관련 사전설계는 Wealth Transfer라는 방식을 통해 동일한 현금을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재정보조계산에 적용되지 않는 자산내에서 설계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통해 자녀가 대학진학 시 여러가지 혜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길도 열리고 현금자산이나 투자자산이 많은 경우에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설계는 타이밍에 또한 신중해야 한다. 이에 추가로 앞으로 발생할 대학의 예상질문에 대한 준비를 미리 마쳐놓는 것도 좋다. 현재, 재정보조의 신청과 진행이 계속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사립대학의 경우에 C.S.S. Profile의 제출에는 더욱 신중한 유의를 하기 바란다.
▶문의: (301)219-3719, remyung@agminstitut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