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초의 자동차 노조 동시 파업과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 우려, 그리고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 및 100달러를 넘보는 고유가까지.
올해 놀라울 정도의 성장세를 보이는 미국 경제가 이 중에 하나의 충격은 견뎌낼 수 있겠지만, 이들 4대 악재가 동시에 터지면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 보도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 20일 금리 결정 회의 때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요인에 대한 질문에 파업과 셧다운, 학자금, 장기간의 고금리, 고유가 쇼크를 꼽았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미국 경제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린 상황에서도 소비 증가와 낮은 실업률 덕분에 호조를 보이고 있다. 유럽과 중국의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한 것과 대비된다.
하지만,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포드와 스텔란티스, 제너럴모터스(GM) 등 3대 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파업이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미시건주 웨인의 포드 자동차 공장에서 파업 중인 노동자가 피켓을 들고 있다. 로이터
현재 제한적인 파업의 초기 영향은 미미하지만,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광범위한 공장 가동 중단이 지속되면 매주 경제성장률이 연율 0.05~0.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업이 자동차 생산량을 줄이고 차량 가격을 상승시키며, 자동차 부품업체 근로자들에 대한 해고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UAW 조합원 약 1만3천 명은 지난 15일부터 디트로이트 완성차 조립공장 3곳에서 파업에 들어갔는데, 숀 페인 UAW 회장은 지난 22일 20개 주 38개 GM 및 스텔란티스 부품공급업체로까지 파업을 확대한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에 도사리고 있는 또다른 복병은 연방 정부 업무의 일시적 중단(셧다운) 우려다.
의회는 이달 말까지 예산안을 처리해야 하는데,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필수 인원을 제외한 정부 노동자 약 80만 명이 강제 무급휴가에 들어가게 된다.
시한이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예산 법안 심의 권한을 쥔 하원의 다수당인 공화당(야당) 내부의 극단적 강경론자들이 지도부와 이견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연방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가속되고 있다. 연방 의사당. 로이터
강제 휴가에 들어간 이들은 소비를 줄이고, 정부도 일시적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덜 구매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5주간의 셧다운이 발생했을 때 약 30만 명이 휴가에 들어갔고, 미 의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8년 4분기와 2019년 1분기 경제성장률은 각각 0.1%, 0.2% 줄었다.
다음 달 1일부터 연방 학자금 대출 상환이 재개되는 것도 미 경제에 부담 요인이다.
코로나19 사태 속에 2020년 3월 교육부가 상환을 일시 중단한 이후 많은 대출자가 상환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웰스파고 이코노미스트 팀 퀸란의 추산에 따르면 이는 앞으로 1년간 미국인들의 주머니에서 1천억 달러를 빼내 갈 수 있다. 이만큼의 자금이 다른 곳에 소비될 수 있는데, 그러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WSJ이 마지막으로 거론한 악재는 에너지 비용 상승이다. 학자금 대출과 함께 미국인들이 외식하거나 추수감사절 같은 명절에 선물을 살 때 덜 쓰게 만든다.
올해 여름 70달러대였던 브렌트유 가격은 최근 공급 부족 우려로 며칠간 90달러대로 급증하며 심리적 저항선인 100달러마저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유가가 견인하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은 연준이 더 오랫동안 고금리를 유지하도록 압박을 가할 수 있다.
9월18일 현재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한 주유소에 7달러를 육박하는 개스값이 표시되고 있다. 로이터
WSJ은 “(4대 악재 가운데) 각각은 지나치게 큰 피해를 주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동시에, 특히 고금리로 이미 경제가 냉각되고 있을 때 더 큰 피해를 낳을 수 있다”고 짚었다.
글로벌 전략 컨설팅업체인 EY파르테논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4대 악재와 관련해 “경제 활동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요인에 대한 4배의 위협”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다수 전문가는 올해 미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하지만 경기 침체는 아닐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코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분기 연율 3.5% 성장에서 4분기 0.6%로 급격히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고, 골드만삭스는 성장률도 3분기 3.1%에서 4분기 1.3%로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