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세 인상 반영하면 더 오를 듯
올해 연말 재산세 고지를 앞두고 재산세율을 산정 중인 조지아주 각 지방 정부가 주민과의 갈등을 겪고 있다. 카운티 예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재원인 재산세의 세율을 고수하려는 정부와 집값 상승으로 인한 세부담을 줄여보려는 주민들이 맞서면서다.
클레이튼 카운티는 지난 16일 내년 회계연도 예산을 충당하기 위해 현행 총 재산세율 16밀(mill)을 18.5밀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판매세 세금 공제 혜택을 적용한 롤백(rollback) 세율은 15.266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엔젤라 잭슨 카운티 재무책임자는 “내년 카운티 행정 예산은 현행 수입에서 9900만 달러 많은 3억 1700만 달러로 예상된다”며 “세수가 정체된 가운데 보험료, 인건비 등이 증가하며 적자가 쌓이고 있다”고 세율 인상 이유를 밝혔다.
카운티 측 추산에 따르면, 25만 달러 가치 주거용 주택 기준 올해 재산세 인상폭은 31%로, 약 261.54 달러다. 35만 달러의 비주거용 부동산 세금은 406.84달러 늘어난다. 이는 교육세를 반영하지 않은 금액으로 향후 고지서상 재산세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카운티 교육위원회 역시 예산 충당을 위해 올해 재산세를 6.78% 인상한다고 17일 밝힌 바 있다.
이날 열린 재산세율 공청회에 참석한 주민은 일제히 세부담 우려를 표했다. 발레리 잰더스(존스버러) 씨는 “(재산세율 부과 기준이 되는) 부동산 평가액이 크게 오른 탓에 카운티는 이미 전년보다 많은 세금을 거둬들이고 있다”며 “주민들이 생활비를 절약하는 만큼 카운티도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고 지적했다. 프레디 에덴필드(클레이튼) 씨 역시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운 저소득층 주민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전했다.
카운티는 오는 24일과 내달 6일 두 번의 공청회를 연 뒤 최종 재산세율을 확정할 계획이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